[업무_공장의 시스템][5. MRP&Purchase-블로그 요약]
공장에서 사용되는 MRP와 Purchas에 대해서 설명함.
[업무_공장의 시스템]5. MRP&Purchase
지난번 #4에 이어서 공장의 시스템을 이어가겠습니다.
이번에도, 해당내용은 굉장히 주관적입니다.
또한, 각각의 제조업 분야 및 공장의 규모에 따라서 일부 팀의 업무가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또는 실무적으로 틀린점이 있더라도 많은 이해 부탁드립니다.
1. MRP(Master Requriements Planning) & Purchase
1. MRP란?
-. 자재 또는 상품(제품)의 입고 일정을 확인
1) 구매팀에서는 MRP를 통해서 공급업체를 F/U(Follow up)함.
2) 생산관리팀에서 MRP를 통해서 생산일정을 조율함.
2. Purchase란?
-. 몇개의 공급업체의 가격을 비교해서 제품을 구매를 하는 업무인
--> 거의 100% 단일업체를 선정하여 제품을 구매하지 않음.
1. MRP(Master Requriements Planning) & Purchase
1. BOM을 통한 자재 또는 재료 정보 확인
2. 자재별로 업체들의 가격, 입고날짜 확인
-. 자재별 등록되어 있는 리드타임은 매번 바뀔 수 있음.
; 원자재 수급, 나라별 이슈, 공급업체 상황등
--> 발주 전에 생산가능여부, 납기, 가격 재 확인 필요
-. 정기적으로 공급업체에게 일정한 수량의 오더를 주는 경우에는 변수가 적음.
3. 자재별로 업체 선정
-. 가격, 입고일정, 품질(업체 Audit)을 통해서 선정
(보통적인 고려 순서)
1) 품질
2) 가격(납품날짜에 여유가 있는 경우)
3) 납품날짜
[잠깐만!!]
업체 선정 방법?
1) 업체 Audit의 결과 여부에 따라 납품업체 등록결정
; 회사의 규정에 따라 어떠한 청탁에도 사심없이 결정하는 것이 중요.
[업체 Audit]
회사 내부의 규정되어 있는 규정을 바탕으로,
납품업체 등록여부를 결정함. (주로 하기 3가지를 확인함.)
1. 공장의 현장 또는 프로세스
2. 납품되는 제품의 품질
3. 원재료 상태
2. (납기가 여유가 있는 경유) 가격이 싼 제품으로 선택
: 영업사원에게 가격과 품질정보는 있지만, 공장상황에 따른 출하날짜는 없음.
--> 대략적으로 제품이 언제 출하되는지 정보가 필요.
(3일~10일 또는 몇달씩의 여유를 가지고 고객에게 이야기 함.)
[가격 조율]
1. 업체별 경쟁을 통해서 가격을 낮춤.
2. 완제품의 이익율에 따라서 강제적으로 자재가격 결정.
: 대량의 오더를 주는 경우에 한해서 가능함.
3. 업체와 협의를 통해서 가격을 낮춤.
: MOQ(Minimum Order Quantity) 조율, 추가 발주를 통해 단가 낮춤.
3. 납기일자가 최우선이 경우에는 적자수주가 아닌 수준에서 업체 선정
4. 발주 진행(Purchase) 및 F/U진행
-. 업체별로 발주(Purchase) 진행하고, 입고날짜에 맞추어 F/U 진행
*** Your memories make your destiny ***
'[업무] > [업무]공장의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무_공장의 시스템]4. MPS&Work Order (0) | 2020.10.21 |
---|---|
[업무_공장의 시스템]3. BOM (0) | 2020.10.20 |
[업무_공장의 시스템]2. 제품코드 (0) | 2020.10.14 |
[업무_공장의 시스템]1. 전반적인 개요 (0) | 2020.08.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