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업무]공장의 시스템

[업무_공장의 시스템]4. MPS&Work Order

by abooda 2020. 10. 21.
반응형

[업무_공장의 시스템][4. MPS&Work Order-블로그 요약]

공장에서 사용되는 BOM에 이어서 MPS와 Work Order에 대해서 설명함.

[업무_공장의 시스템]4. MPS&Work Order 

지난번 #3에 이어서 공장의 시스템을 이어가겠습니다.

이번에도, 해당내용은 굉장히 주관적입니다.

또한, 각각의 제조업 분야 및 공장의 규모에 따라서 일부 팀의 업무가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또는 실무적으로 틀린점이 있더라도 많은 이해 부탁드립니다.

 

1. MPS(Master Production Schedule) & Work Order

1. MPS란?

-. 각각의 공정에 따른 제품 생산의 일정을 확인

1) 생산팀에서는 MPS를 통해서 제품의 생산시작과 완료일정을 확인.

2) 구매팀에서는 MPS를 통해서 제품의 생산시작일자를 확인하고, 자재입고 결정.

3) 영업팀에서는 MPS를 통해서 제품의 생산완료일자를 확인하고, 판매일자 결정.

-. 대략적인 계획과 세부적인 계획 두 종류가 있음(#[업무]제조업 참조)

 

2. Work Order란?

-. 작업지시(서)로 대체적으로 불리어지며, 생산을 할 제품에 대한 설명이 작성되어 있음.

--> 각각의 기계에서 작업할 제품의 순서 또는 제품의 특이사항을 작성하여 전달함.

(작업지시서를 받는 부서: 생산부서)

-. MPS를 통해서 각각의 기계 또는 공정별로 Work Order 작성하여 전달.

-. 세부적인 MPS를 살짝 정리(필요없는 정보 제거)해서 생산팀에 전달하는 경우도 있음.

 

1. MPS(Master Production Schedule)와 Work Order 만들기

(모든 업무는 엑셀로 진행하다는 가정입니다.)

(전사적 자원관리 프로그램이 있다면, 프로그램을 따라서 만들면 됨.)

 

1. 오더수령

-. 영업에서 오더를 받은 후, 공장 및 회사내의 언어로 변경함.(제품코드 추가)

 

2. BOM 확인

-. 초밥이라는 공통의 반제품을 사용함.

 

3. BOM 만들기

-. 각각의 완제품의 BOM을 확인함.(완제품의 오더수량과 BOM의 기준수량을 반드시 확인)

1) 연어초밥

 

2) 광어초밥

 

4. 자재입고 일정 확인

: 입고날짜에 맞추어, 반제품, 완제품 생산일자를 조율함.

 

5. 반제품, 완제품 생산일자 확인

 

6. 전체 일정

1) 반제품 생산 시작일자

-. 밥, 식초, 설탕중에 마지막 자재가 입고되는 날짜부터 생산시작

: 식초가 마지막으로 11/4에 입고됨.

2) 완제품 생산 시작일자

-. 반제품 완료일자, 와사비, 연어회, 광어회가 입고 완료되는 일자부터 생산시작

: 반제품이 11/5일 완료가 되지만, 회가 11/6일에 입고가 됨.

 

7. 생산 또는 품질의 관점에서 일정 변경

: 생산 또는 품질의 효율성으로 전체 생산일자 변경 가능.

(묶음작업: Loss를 줄이기 위해, 동일제품을 일괄적으로 생산)

[제품의 신선도를 위해, 초밥을 연어회, 광어회 입고 날짜에 맞추어 작업 진행]

 

8. 작업 지시서(Work Order) 발행

: 제품을 생산 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팀에 전달.

 

*** Your memories make your destiny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