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업무]공장의 시스템

[업무_공장의 시스템]2. 제품코드

by abooda 2020. 10. 14.
반응형

[업무_공장의 시스템][2. 제품코드-블로그 요약]

공장을 좀 더 편리하게 운영하기 위한 제품코드를 설명함.

[업무_공장의 시스템]2. 제품코드 

지난번 #1에 이어서 공장 시스템에 대해서 이어가겠습니다.

이번에도, 해당내용은 굉장히 주관적입니다.

또한, 각각의 제조업 분야 및 공장의 규모에 따라서 일부 팀의 업무가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또는 실무적으로 틀린점이 있더라도 많은 이해 부탁드립니다.

 

우선, 제품코드를 시작하기에 앞서서공장의 시스템을 새로 만들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회사는 제품코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위치와 경력이 된다면 오랫동안 사용한 회사의 언어인 '제품코드'를 바꿀 수가 있습니다.

만약 바꾸시길 원하시면,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투자 해야 합니다.

 

1. 제품코드란?

1. 제품코드란?

-. 간단하게 말하면, 회사에서 사용하는 모든 것에 대한 명칭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잠깐만!!]

[예를들면!!]

스타벅스에 가면 각종 커피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많이 주문하는 커피들이 메뉴판에 있습니다.

우리는 메뉴판을 이용해서 주문을 합니다.

 

만약에 내가 주문하고 싶은 음료가 메뉴판이 없다면?????????

아메리카노 그란데 사이즈를 주문하고 싶을 때, 475ml의 사이즈의 컵에 물을 약 70% 채워주시고,

스팀방식으로 추출된 에스프레소 2개 잔을 가득 채운 물은 채운 뒤에 넣어 주세요.

 

2. 제품코드의 목적

1. 언어의 일치화

-. 회사라는 생태계안에서 모든 사람이 동일한 언어를 사용함.

--> Miss Communication을 줄일 수 있음.

[잠깐만!!]

[예를들면!!] 아프리카 고객에게서 받은 아프리카어로 된 주문을 공장에 전달하면 아무도 못 알아 듣는다. ex) Bestelling hoeveelheid 500ct --> "똥사고 있네"라는 회신을 받을 수 있다.

 

2. 언어의 단순화

-. 고객에거 받은 정보를 빠르고 간단하게 내부에 전달 할 수 있음.

[잠깐만!!]

[내부규정]

[예문]

뻘겋지만 약간의 생기가 도는 연필과 지우개 = 빨연지

노랗지만 너무 노랗지 않고 너무 옅은 노란색이 아닌 연필 = 노연

노란줄에 빨간색 방울표시를 가진 연필과 볼펜 = 막연펜

[오더수량]

[예문]

뻘겋지만 약간의 생기가 도는 연필과 지우개: 10 자루

노랗지만 너무 노랗지 않고 너무 옅은 노란색이 아닌 연필: 20 자루

노란줄에 빨간색 방울표시를 가진 연필과 볼펜: 30 자루

[오더수량-공장에게 전달] --> 내부규정을 통해 간단하게 정보 전달

[예문]

빨연지: 10자루

노연: 20자루

막연펜: 30자루

 

3. 제품코드의 명명

1. 완제품의 명명

-. 회사에서 기준을 정해서 완제품을 명명함.(Ex 모델명)

--> 대부분 제품의 특징을 기준으로 해서 완제품명을 정함.

-. 예를 들면, 고객이 아이패드를 사려고 합니다. 고객은 아이패드라고 부르지만

셀룰러 5G, 셀룰러 4G, 셀룰러 5G 와 4G가 둘다 되거나, 와이파이만 되는건지에 따른

같은 아이패드도 다른 모델명을 같게 됩니다.

--> 영업사원이 공장한테 아이폰 100개 만들어줘라고 했을 때, 공장에서는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지 알 수

가 없습니다.

[잠깐만!!]

어떻게 반제품의 명명을 할까?

1. 반제품의 특징을 확인합니다.

2. 반제품의 특징을 명명합니다.

3. 반제품을 명명합니다.

 

연어초밥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 연어초밥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적었습니다.

밥의 정도 - 질은밥, 꼬들밥 연어회의 두께 - 1cm, 2cm 간장 - 진간장, 국간장

2. 각각의 특징을 명명합니다.

 

3. 완제품을 명명합니다.

JB-1-J: 질은밥, 1cm의 연어회, 진간장을 사용한 연어초밥

JB-2-K: 질은밥, 2cm의 연어회, 국간장을 사용한 연어초밥

KB-2-J: 꼬들밥, 2cm의 연어회, 진간장을 사용한 연어초밥

 

2. 반제품의 명명

-. 반제품이란??

--> 재료와 제품(완제품)의 중간 상태. 딱, 제품이 되기 전에 상태

[잠깐만!!]

반제품이란?

 

연어초밥과 광어초밥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초밥 구성품]

가장 중요한 부분: 반제품과 완제품은 1:1 매칭이 아니다!!

(반제품 하나는 많은 완제품에 들어 갈 수 있다.)

-. 회사에서 기준을 정해서 반제품을 명명함.

--> 대부분 제품의 특징에 공정(프로세스)를 추가한 기준으로 반제품명을 정함.

[잠깐만!!]

[잠깐만!!] 어떻게 완제품의 명명을 할까?

1. 반제품의 특징을 확인합니다.

2. 반제품의 특징을 명명합니다.

3. 반제품을 명명합니다.

 

다시, 연어초밥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 연어초밥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적었습니다.

밥의 온도 - 차가운밥, 뜨거운밥

밥의 정도 - 질은밥, 꼬들밥 --> 처음에는 뜨거운밥이고 식히는 프로세스를 지나면 차가운밥이 됨.

2. 각각의 특징을 명명합니다.

3. 완제품을 명명합니다.

CH-JB: 차가운 질은 밥

D-KB: 뜨거운 꼬들 밥

 

3. 자재의 명명

-. 회사에서 기준을 정해서 자제를 명명함.

--> 자재의 특징을 기준으로 자재명을 정함.

[잠깐만!!]

어떻게 자재를 명명을 할까?

1. 자재의 특징을 확인합니다.

2. 자재의 특징을 명명합니다.

3. 자재을 명명합니다.

 

또 다시, 연어초밥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 연어초밥에서의 자재인 연어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적었습니다.

연어의 원산지 - 노르웨이, 시베리아

연어의 색상 - 오렌지색, 빨강색

연어의 도착일자 - 10일전, 5일전

2. 각각의 특징을 명명합니다.

 

3. 자재를 명명합니다.

Salmon[Nor/OR/10]: 노르웨이산, 오렌지색의 10일전에 도착한 연어

Salmon[SB/RD/5]: 시베리아산, 빨강색의 5일전에 도착한 연어

 

4. 제품코드의 방식

-. 크게 세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서 제품코드를 만들 수 있다.

-. 각각의 방식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업종, 회사의 사정, 제품등을 고려하여 결정 할 수 있음.

(복합형 타입을 추천함.)

 

*** Your memories make your destiny ***

반응형

댓글